
RJ 저널 22년 3월호
비대면 시대와 회복적 정의
RJ 저널 다운 받기 (클릭)
2020년 2월 어느 날, 강의를 위해 울산에 내려갔다가 강의 직전, 코로나로 취소되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그때 뭔가 심상치 않은 일들일 일어날 것 같다는 예감과 함께 예정되어 있던 강의가 취소되기 시작했지요. 하나, 둘... 그렇게 우리나라에서 코로나가 시작된 지도 3년이 되어 갑니다.
코로나가 장기화되면서 마스크 쓴 얼굴이 익숙해지고, 얼마 전까지 체온 측정과 방역패스, 손소독은 일상이었으 며 왕래는 뜸해지고 거리는 한산해졌습니다. 많은 이들의 고통과 희생 속에서도 계속되는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 과 중단 없는 확산세는 높은 백신 접종률을 무색케 했고 코로나 종식에 대한 기대감은 막연해졌으며 코로나 블루 는 구체화되고 코로나 셈법은 복잡해졌습니다.
코로나로 모두가 힘들겠지만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곳은 아마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 그리고 의료 현장과 교육 현장이었을 것입니다. 정부가 추경을 통해 코로나 손실 보상을 해 주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않아 직장을 잃고 목숨을 잃는 이들이 계속되고 있고 코로나 최전선에서 고군분투했던 의료진들은 열악한 의료 환경을 개인 의 헌신으로 메꿔야 했습니다. 학교는 코로나에 대한 어설픈 기준과 애매한 원칙 속에서 불안한 등교를 시작하였 고 지금까지 대면과 비대면을 오가며 혼란스러워 하고 있습니다.
OECD는 2020년 ‘학습 손실의 경제적 영향’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1년 중 2/3 학습결손이 3조 달러(약 3,337 조 7천억 원)의 경제적 손실을 발생 시킬 것으로 추산하고 있지만 3년이 되어 가는 지금, 경제적 손실은 이미 천문 학적 수치를 기록하고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학습 손실보다 더 심각할 것으로 보이는 아이들의 사회성 손실은 계산조차 되고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또래 집단과 교류하지 못하면서 잃어버린 사회성 발달 기회, 장기간 고립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심리적 불안, 신체 활동 부족과 부실한 식단으로 인한 건강 위협 등의 문제가 장기적으로 미래 세대 개개인의 삶과 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가늠 조차 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세계화가 곧 감염 속도가 돼버리고, 자본의 논리가 곧 감염 경로가 돼버린, 그래서 국경 봉쇄와 코호트 격리라는 극단적 조치로도 막을 수 없었던 아이러니를 우리는 지켜보았습니다. 그러하기에 코로나가 준 아픈 교훈은 상생 (相⽣)일 것입니다. 내가 건강해야 모두가 건강할 수 있고 모두가 건강해야 내가 건강할 수 있다는… 이것은 비단 인간 뿐만이 아니라 자연과 환경이 모두 그래야 한다는, 그리고 우리가 회복해야 할 대상은 인간만이 아니었음을 알게 해줬습니다…
코로나로 모든 것이 멈춰버린 이 때에도 전쟁은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에 평화를… ‘전쟁을 시작하는 건 이성일 수 있지만 전쟁을 지속시키는 건 광기이다’ - 최영미 시인 -
- 편집인의 글
[펴내며] _ 편집인 _ 2
[카툰] 대면의 그리움 _ 이형우 _ 3
[주제글1] 코로나19와 폭력 _ 김영식 _ 4
[주제글2] 코로나 시대의 학교 현장 이야기 _ 김훈태 _ 8
[주제글3] 비대면 시대의 교사 소진과 회복 _ 고흥락 _ 10
[주제글4] 저는 코로나에 걸렸습니다 _ 김애경 _ 12
[회복적 대담] 우리들의 이야기, 학교1 _ 박성실 _ 15
[연재1] 뒷북(book) 이야기6 - 비대면 문화와 회복적 정의 _ 이재영 _ 19
[연재2] 벨린다 홉킨스 박사의 회복적 교실 - 행동 상의 실수에 대해 생각하기 _ 벨린다 홉킨스 _ 23
[연재3] 비대면 인문학 강좌1 - 코로나 시대, 비대면으로 연결되는 세상 _ 김애경 _ 25
[회복적 실천] 회복적 경찰활동 - 가정폭력 조정 사례 _ 공윤희 _ 27
[교육후기] 3급 교육 겨울 과정 후기 _ 편집부 _ 32
[교육후기] 사진으로 보는 교육후기 _ 편집부 _ 35
[책 이야기] 옥상 정원 _ 박성실 _ 36
[드라마 이야기] 지금 우리 학교는 _ 장민지_ 39
[소개합니다] 회복적교회연구회 _ 황필규 _ 41
[회원인터뷰] 저를 소개합니다 ~ _ 손장훈 _ 43
[RJ뉴스1] "인류 파멸로 모는 자본주의 다시 생각할 때" _ 뉴스1 _ 45
[RJ뉴스2] 우크라이나 침공 중단, 평화적 해결 촉구 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문 _ 편집부 _ 46
[RJ포토] 사진으로 보는 이모저모 _ 편집부 _ 48
[협회소식] 협회소식 _ 49
[협회후원] 후원회비 증액을 부탁드립니다 _ 사무국 _ 50
[광고] 주) 피스빌딩 스토어 _ 편집부 _ 51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고 순서에 따라 답변해주시면
RJ 저널 3월호를 다운받을 수 있는 링크가 나옵니다.
RJ 저널 다운 받기 (클릭)
RJ 저널 22년 3월호
비대면 시대와 회복적 정의
RJ 저널 다운 받기 (클릭)
2020년 2월 어느 날, 강의를 위해 울산에 내려갔다가 강의 직전, 코로나로 취소되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그때 뭔가 심상치 않은 일들일 일어날 것 같다는 예감과 함께 예정되어 있던 강의가 취소되기 시작했지요. 하나, 둘... 그렇게 우리나라에서 코로나가 시작된 지도 3년이 되어 갑니다.
코로나가 장기화되면서 마스크 쓴 얼굴이 익숙해지고, 얼마 전까지 체온 측정과 방역패스, 손소독은 일상이었으 며 왕래는 뜸해지고 거리는 한산해졌습니다. 많은 이들의 고통과 희생 속에서도 계속되는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 과 중단 없는 확산세는 높은 백신 접종률을 무색케 했고 코로나 종식에 대한 기대감은 막연해졌으며 코로나 블루 는 구체화되고 코로나 셈법은 복잡해졌습니다.
코로나로 모두가 힘들겠지만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곳은 아마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 그리고 의료 현장과 교육 현장이었을 것입니다. 정부가 추경을 통해 코로나 손실 보상을 해 주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않아 직장을 잃고 목숨을 잃는 이들이 계속되고 있고 코로나 최전선에서 고군분투했던 의료진들은 열악한 의료 환경을 개인 의 헌신으로 메꿔야 했습니다. 학교는 코로나에 대한 어설픈 기준과 애매한 원칙 속에서 불안한 등교를 시작하였 고 지금까지 대면과 비대면을 오가며 혼란스러워 하고 있습니다.
OECD는 2020년 ‘학습 손실의 경제적 영향’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1년 중 2/3 학습결손이 3조 달러(약 3,337 조 7천억 원)의 경제적 손실을 발생 시킬 것으로 추산하고 있지만 3년이 되어 가는 지금, 경제적 손실은 이미 천문 학적 수치를 기록하고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학습 손실보다 더 심각할 것으로 보이는 아이들의 사회성 손실은 계산조차 되고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또래 집단과 교류하지 못하면서 잃어버린 사회성 발달 기회, 장기간 고립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심리적 불안, 신체 활동 부족과 부실한 식단으로 인한 건강 위협 등의 문제가 장기적으로 미래 세대 개개인의 삶과 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가늠 조차 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세계화가 곧 감염 속도가 돼버리고, 자본의 논리가 곧 감염 경로가 돼버린, 그래서 국경 봉쇄와 코호트 격리라는 극단적 조치로도 막을 수 없었던 아이러니를 우리는 지켜보았습니다. 그러하기에 코로나가 준 아픈 교훈은 상생 (相⽣)일 것입니다. 내가 건강해야 모두가 건강할 수 있고 모두가 건강해야 내가 건강할 수 있다는… 이것은 비단 인간 뿐만이 아니라 자연과 환경이 모두 그래야 한다는, 그리고 우리가 회복해야 할 대상은 인간만이 아니었음을 알게 해줬습니다…
코로나로 모든 것이 멈춰버린 이 때에도 전쟁은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에 평화를… ‘전쟁을 시작하는 건 이성일 수 있지만 전쟁을 지속시키는 건 광기이다’ - 최영미 시인 -
- 편집인의 글
[펴내며] _ 편집인 _ 2
[카툰] 대면의 그리움 _ 이형우 _ 3
[주제글1] 코로나19와 폭력 _ 김영식 _ 4
[주제글2] 코로나 시대의 학교 현장 이야기 _ 김훈태 _ 8
[주제글3] 비대면 시대의 교사 소진과 회복 _ 고흥락 _ 10
[주제글4] 저는 코로나에 걸렸습니다 _ 김애경 _ 12
[회복적 대담] 우리들의 이야기, 학교1 _ 박성실 _ 15
[연재1] 뒷북(book) 이야기6 - 비대면 문화와 회복적 정의 _ 이재영 _ 19
[연재2] 벨린다 홉킨스 박사의 회복적 교실 - 행동 상의 실수에 대해 생각하기 _ 벨린다 홉킨스 _ 23
[연재3] 비대면 인문학 강좌1 - 코로나 시대, 비대면으로 연결되는 세상 _ 김애경 _ 25
[회복적 실천] 회복적 경찰활동 - 가정폭력 조정 사례 _ 공윤희 _ 27
[교육후기] 3급 교육 겨울 과정 후기 _ 편집부 _ 32
[교육후기] 사진으로 보는 교육후기 _ 편집부 _ 35
[책 이야기] 옥상 정원 _ 박성실 _ 36
[드라마 이야기] 지금 우리 학교는 _ 장민지_ 39
[소개합니다] 회복적교회연구회 _ 황필규 _ 41
[회원인터뷰] 저를 소개합니다 ~ _ 손장훈 _ 43
[RJ뉴스1] "인류 파멸로 모는 자본주의 다시 생각할 때" _ 뉴스1 _ 45
[RJ뉴스2] 우크라이나 침공 중단, 평화적 해결 촉구 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문 _ 편집부 _ 46
[RJ포토] 사진으로 보는 이모저모 _ 편집부 _ 48
[협회소식] 협회소식 _ 49
[협회후원] 후원회비 증액을 부탁드립니다 _ 사무국 _ 50
[광고] 주) 피스빌딩 스토어 _ 편집부 _ 51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고 순서에 따라 답변해주시면
RJ 저널 3월호를 다운받을 수 있는 링크가 나옵니다.
RJ 저널 다운 받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