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회복적정의협회와 소망교도소가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회복적 정의 패러다임은 학교, 병원, 아파트, 마을공동체, 지역사회 그리고 사법 영역에서의 경찰, 법원에 소개 및 실천되고 있습니다.

연이어 교정단계에서 회복적 정의 패러다임을 실천하고자 하는 소망교도소와 한국회복적정의협회가 양 기관의 협력을 위하여 MOU를 체결했습니다.

앞으로 두 기관은 첫째, 소망교도소 직원 및 수용자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하며 둘째, 교도소 내 연구 활동 및 실습관련 상호 협력 셋째, 기타 실무협의에 따른 소통을 진행합니다.

오늘을 시작으로 재소자들을 위한 8주간의 강의와 평화감수성 활동, 써클 및 회복적 프로그램이 진행됩니다.

무엇보다 <교도소에서의 회복적 사법>(2020,대장간)을 번역한 김영식 소망교도소 소장님의 의지와 지원으로 시작된 본 협약을 통하여 교정단계에서도 회복적 정의 실천의 가능성이 꽃 피길 기대합니다.

한국회복적정의협회와 소망교도소가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회복적 정의 패러다임은 학교, 병원, 아파트, 마을공동체, 지역사회 그리고 사법 영역에서의 경찰, 법원에 소개 및 실천되고 있습니다.
연이어 교정단계에서 회복적 정의 패러다임을 실천하고자 하는 소망교도소와 한국회복적정의협회가 양 기관의 협력을 위하여 MOU를 체결했습니다.
앞으로 두 기관은 첫째, 소망교도소 직원 및 수용자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하며 둘째, 교도소 내 연구 활동 및 실습관련 상호 협력 셋째, 기타 실무협의에 따른 소통을 진행합니다.
오늘을 시작으로 재소자들을 위한 8주간의 강의와 평화감수성 활동, 써클 및 회복적 프로그램이 진행됩니다.
무엇보다 <교도소에서의 회복적 사법>(2020,대장간)을 번역한 김영식 소망교도소 소장님의 의지와 지원으로 시작된 본 협약을 통하여 교정단계에서도 회복적 정의 실천의 가능성이 꽃 피길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