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J 뉴스]다시, 회복적 정의 l 편집부

2025-05-23
조회수 95

다시, 회복적 정의

편집부



  

정리: 류혜선 / 회복적정의연구소 연구원


RJ저널 3월 주제는 ‘다시, 회복적 정의’입니다. 혼란한 시국속에서 바른 자리매김으로서의 ‘정의’가 무엇이고 우리가 놓치고 있는 정의는 무엇인지 살펴봅니다. 우리 사회에서 새로운 분야에 시도되고자 하는 회복적 정의 기사를 뽑았습니다.


1. "軍 폭력 대응, 처벌 위주 넘어 '회복적 정의' 개념 도입해야" [뉴스1 허고운 기자 2025. 03. 03]

현재 군 내 폭력 문제 대응방식은 가해자를 처벌하는 방식의 '응보적 정의', 가해자와 피해자를 분리하는 '분리주의' 정책 기조를 중심으로 이뤄지는데, 이러한 방식은 폭력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기 어렵고 피해자의 고통을 충분히 치유하지 못하는 한계를 말합니다. 이에 따라 군 내 폭력 사건에 대해 회복적 정의 접근 방식을 제안하며 캐나다와 호주에서 군 내 폭력에 대한 회복적 정의 사례만 짧게 언급하고 있는 단편기사입니다.


기사 바로보기



2. 비상계엄 이후, 헌법 구하러 나선 어떤 법률가들 [시사인 전혜원 기자 2025.01.28]

법치주의 문명국가에서 헌법의 역할은 무엇인지. 무너진 헌법을 보호하기 위해 최전선에 나온 법률가들의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기사 바로보기



3. 윤석열 탄핵에 반대하는 어떤 시민들을 만나다 (‘유권자 인식 조사후속’ FGI) [시사인 전혜원 기자 2025.03.06]

회복적 정의는 사건 당사자 모두에게 안전한 공간을 마련합니다. 양쪽의 입장을 안전하게 들을 수 있는 공간이 있을 때 우리사회는 양극단의 파괴적인 폭력이 아니라 서로의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만들어 갈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런 뜻에서 의미있는 기사입니다.


기사 바로보기



4. 비상계엄이 세상 휩쓸자 잊힌 ‘여성 의제’(3·8 여성의날)[경향신문 이예슬 우혜림 기자 2025. 03. 10]

12·3 비상계엄 이후 여성들이 광장의 주인공으로 떠올랐지만 역설적이게도 계엄 사태로 인해 뒷전으로 밀린 ‘여성 의제’는 무엇인지 확인해봅니다.


기사 바로보기



5. 이주민 가두는 한국 사회, 국회는 또 바꿀 기회 놓쳤다.[한겨레 21 이한재 공익법단체 두루 변호사 2025. 03. 12]

회복적 정의는 사건 당사자 모두에게 안전한 공간을 마련합니다. 양쪽의 입장을 안전하게 들을 수 있는 공간이 있을 때 우리사회는 양극단의 파괴적인 폭력이 아니라 서로의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만들어 갈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런 뜻에서 의미있는 기사입니다.


기사 바로보기



0

사단법인 한국회복적정의협회    Korea Association for Restorative Justice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궁촌로 25 ㅣ 사업자등록번호 132-82-12871 ㅣ이재영 이사장

(12269)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궁촌로 25 피스빌딩 ㅣ문의 031-521-8833 ㅣ admin@karj.org

Copyright ⓒ 2024 한국회복적정의협회 KARJ

Copyright ⓒ 2024 한국회복적정의협회 KAR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