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적 가정 자녀교육
우리 연약한 가족을 강해지게 하는 회복적 실천
케런 / 동북아평화교육훈련원NARPI, 피스빌딩 거주
*본 글은 RJ 저널 2021년호에 실렸습니다.
Restorative practices that strengthen our fragile family
우리 연약한 가족을 강해지게 하는 회복적 실천
In the Christian calendar, now is the time of Lent (the period of 40 days before the celebration of Jesus’ resurrection). This is a time to remember that we are human – not gods. Our bodies are made out of soil, and someday we will return to soil.
기독교 절기에서는 예수님의 부활 전 40일을 사순절이라고 부른다. 사순절은 우리에게 우리가 신이 아니라 인간이라고 기억하게 하는 시간이다. ‘우리의 몸은 흙으로 만들어졌으며 언젠가 흙에 다시 돌아갈 것이다’라는 것을 기억하게 한다.
Getting married, and also becoming a parent, has been a journey of becoming more aware of my weaknesses. After the birth of our first child, I was surprised at the reality of my lack of patience toward the precious child that I loved so deeply.
나는 내가 결혼하기 전에 참을성이 많은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결혼한 후에, 그리고 첫째 아이를 낳은 후에 내가 쉽게 화를 내는 사람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나에게 가장 귀한 사람에게 어떻게 제일 쉽게 화를 낼 수 있을까’하고 점차 걱정하게 되었다.
The past nine years have given me a lot of practice with patience, but I still need to grow more. I’ve been especially aware of my humanity these past few months, as I’ve grown weary of pandemic life. The Covid-19 pandemic has put a magnifying glass on our fragility – our fragile lives, fragile minds, and fragile homes.
지난 9년 동안 나는 인내심을 가지고 사는 연습을 많이 해왔지만 아직도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지난 몇 달 동안은 전염병 때문에 답답한 생활에 지쳐가면서 내 인간성을 더욱 깊이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코로나로 인해 우리의 연약한 삶, 연약한 마음, 연약한 가정을 돋보기처럼 들여다보게 된 것 같다.
I realized a few weeks ago that conflicts between the children were starting in the morning, even when they were well-rested. This was something new. Also, the number of conflicts each day seemed to be increasing. In my frustration, I sometimes escalated the situation with my angry responses, instead of calmly helping them to talk through their conflicts.
몇 주 전부터 아이들이 밤에 잘 쉬었는데도 아침부터 부딪치는 것을 보게 되었다. 사실 아이들이 피곤할 때는 이런 충돌이 많았지만 잘 쉰 후에도 이런 갈등이 일어나는 것은 새로운 현상이었다. 그리고 그 횟수도 늘어가는 것 같았다. 이런 상황에 대해 아이들과 앉아서 조용히 이야기할 수 있으면 좋았겠지만, 내 안의 짜증 때문에 오히려 화를 내는 반응으로 상황을 악화시키는 실수를 범하곤 했다.
But failures can serve a reminder of the work we need to do. In this season of increased stress and conflict, our family is also working more intentionally at building a restorative culture in our home.
그러나 실패는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스트레스와 갈등이 많은 이 시기에 우리 가족도 가정 내에 회복적 문화를 만들기 위해 더 의도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
I asked our oldest daughter, Lomie, who’s 11 (Korean age) what she believes makes our home a restorative place. She thought of four things: listening to each other, sharing in a circle together every evening, sharing in a dialogue when there is conflict, and making promises together. I want to add number five: living with parents-in-law and community.
최근에 11살이 된 첫째 딸 로미에게 우리가 회복적 가정을 만들기 위해 어떻게 할 수 있을지 물어보았다. 로미는 다음의 네 가지를 이야기했다. 1. 서로 잘 들어주기, 2. 매일 가족서클 하기, 3. 갈등해결을 위한 대화모임 하기, 4. 약속 만들기. 그리고 내가 추가하고 싶은 다섯 번째는 ‘시부모님 및 공동체와 함께 살기’이다.
1. Listening to each other 서로 잘 들어주기
I want to raise our children in a home where we parents actively listen to our children, with open ears and open hearts. Through this modeling, I hope that our children will also learn how to listen respectfully to each other, to us and to others.
우리 집에서 부모가 자녀에게 열린 귀와 열린 마음으로 적극적인 듣기를 잘 하게 되면 좋겠다. 이 모델을 통해 내가 바라는 것은, 우리 아이들이 서로에게, 우리에게, 다른 사람에게 존중으로 듣는 법을 배우게 되는 것이다.
2. Bedtime circle 매일 가족서클 하기
For the past few years, our family has gathered in the evening before bed for a family circle. We take turns asking questions like, “What were you grateful for today?” or “What is something you want to do tomorrow?” and we pass a talking piece around as we take turns sharing. This helps us to know each other and to understand each other.
우리 가족은 지난 3년 동안 잠자리에 들기 전에 다 같이 원으로 앉아서 이야기 나누는 가족서클을 해왔다. 교대로 질문을 만들고 토킹피스를 갖고 있는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준다. 우리 가족서클에서 주로 나오는 질문은 “오늘 뭐가 제일 좋았는지? 또 내일 무얼 하고 싶은지?” 등이다. 가족서클을 통해서 가족 구성원 간에 서로를 잘 알게 되고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데 도움이 된다.
3. Conflict resolution dialogues 갈등해결을 위한 대화모임 하기
We don’t have a circle for every conflict – but when one or more of the children feels especially hurt, we sit down and talk it through together. We wait to start the circle until everyone has calmed down, and if the conflict happens close to bedtime, we wait until the next morning to talk it through. We close these circles by holding each other close and singing, “I love my sisters!” or “I love our family!”
갈등이 생길 때마다 대화모임을 하지는 않지만 아이들 중에 누가 특히 피해를 받았다고 느끼면 다 같이 모여 토킹피스를 돌려가며 이야기를 나눈다. 싸우면 바로 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심리적으로 진정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시작하고, 잠잘 시간이 다 되어서 갈등이 발생하면 다음 날 아침까지 기다린다. 대화모임을 마무리하고 나서는 서로 안아주면서 “우리 가족을 사랑합니다!”라는 노래를 함께 부르면서 마친다.
4. Making promises 약속 만들기
Sometimes we sit together to make new promises about a certain area that has been full of conflict. We share our ideas and choose our promises based on consensus. Then we post them somewhere in our home until they become part of our common practice, or no longer needed.
우리 집에서는 <규칙>이 아니라 같이 만든 <약속>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새로운 약속을 만들 필요가 있을 때마다 다 같이 생각을 나누고 합의한 것을 바탕으로 약속을 정한다. 공동의 실천이 될 때까지, 또는 더 이상 필요 없을 때까지 새로운 약속을 글로 써서 집 안 어딘가에 붙여 놓는다.
5. Living with parents-in-law and community 시부모님 및 공동체와 함께 살기
Since Lomie was born, we have lived in the same building with some of our working community, and for the past nearly six years, we have shared a home with my parents-in-law. Our children have thrived as a result of the love they receive from their grandparents and from many “aunts” and “uncles”. Also, living closely with elderly parents and community, though it also holds challenges, provides wisdom and accountability in our efforts to live restoratively.
로미가 태어나기 전부터 우리 가족은 공동체 식구들과 같은 건물에서 살아왔으며 최근 6년 동안 시부모님과 함께 살았다. 우리 아이들은 할머니, 할아버지라고 부르는 시부모님과 많은 이모, 삼촌의 사랑을 많이 받고 자라서 잘 크는 것 같다. 그리고 세대 차가 나는 연세 있는 부모님과 공동체와 함께 살기 때문에 어려운 도전도 많지만 오히려 회복적으로 살기 위한 지혜와 책임에 대해 매일 배울 수 있다.
These five practices have been important for our family, but they are not necessarily a recipe for a restoration. The thing that is more important than these practices, is whether we really believe that restoration is possible. Among the code of ethics of the Anishinaabe, a group of Indigenous peoples in what are now Canada and the U.S, are these powerful statements:
“All persons make mistakes. All mistakes can be forgiven.”
이 다섯 가지 실천은 우리 가족에게 중요하지만 회복적 가정을 위한 레시피는 아닌 것 같다. 회복적 실천보다 더 중요한 것은 우리가 정말로 회복이 가능하다고 믿는 믿음과 확신이 있는가라고 할 수 있다. 캐나다와 미국의 원주민 그룹인 아니쉬나아비(Anishinaabe)의 윤리 강령에 있는 중요한 문구를 나누고 싶다.
<모든 사람은 실수를 한다. 모든 실수는 용서받을 수 있다.>
I choose to believe that our mistakes can be mended, restored, and forgiven. I want to be a person who aims to restore and forgive my own mistakes and the mistakes of the people around me. This desire pushes me to seek out the words and actions to co-create a restorative home, a place of life and peace.
나는 우리의 실수가 고쳐지고, 회복되고, 용서받을 수 있다고 믿는 것을 선택한다. 나는 내 실수와 주변 사람들의 실수를 회복하고 용서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 그래서 회복적 가정(생명과 평화가 있는 공간) 창조하기 위한 말과 행동을 계속 찾아갈 것이다.
*이재영 이사장의 아내 캐런 선생님의 글을 류혜선 연구원이 번역하였습니다.
회복적 가정 자녀교육
우리 연약한 가족을 강해지게 하는 회복적 실천
케런 / 동북아평화교육훈련원NARPI, 피스빌딩 거주
*본 글은 RJ 저널 2021년호에 실렸습니다.
Restorative practices that strengthen our fragile family
우리 연약한 가족을 강해지게 하는 회복적 실천
In the Christian calendar, now is the time of Lent (the period of 40 days before the celebration of Jesus’ resurrection). This is a time to remember that we are human – not gods. Our bodies are made out of soil, and someday we will return to soil.
기독교 절기에서는 예수님의 부활 전 40일을 사순절이라고 부른다. 사순절은 우리에게 우리가 신이 아니라 인간이라고 기억하게 하는 시간이다. ‘우리의 몸은 흙으로 만들어졌으며 언젠가 흙에 다시 돌아갈 것이다’라는 것을 기억하게 한다.
Getting married, and also becoming a parent, has been a journey of becoming more aware of my weaknesses. After the birth of our first child, I was surprised at the reality of my lack of patience toward the precious child that I loved so deeply.
나는 내가 결혼하기 전에 참을성이 많은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결혼한 후에, 그리고 첫째 아이를 낳은 후에 내가 쉽게 화를 내는 사람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나에게 가장 귀한 사람에게 어떻게 제일 쉽게 화를 낼 수 있을까’하고 점차 걱정하게 되었다.
The past nine years have given me a lot of practice with patience, but I still need to grow more. I’ve been especially aware of my humanity these past few months, as I’ve grown weary of pandemic life. The Covid-19 pandemic has put a magnifying glass on our fragility – our fragile lives, fragile minds, and fragile homes.
지난 9년 동안 나는 인내심을 가지고 사는 연습을 많이 해왔지만 아직도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지난 몇 달 동안은 전염병 때문에 답답한 생활에 지쳐가면서 내 인간성을 더욱 깊이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코로나로 인해 우리의 연약한 삶, 연약한 마음, 연약한 가정을 돋보기처럼 들여다보게 된 것 같다.
I realized a few weeks ago that conflicts between the children were starting in the morning, even when they were well-rested. This was something new. Also, the number of conflicts each day seemed to be increasing. In my frustration, I sometimes escalated the situation with my angry responses, instead of calmly helping them to talk through their conflicts.
몇 주 전부터 아이들이 밤에 잘 쉬었는데도 아침부터 부딪치는 것을 보게 되었다. 사실 아이들이 피곤할 때는 이런 충돌이 많았지만 잘 쉰 후에도 이런 갈등이 일어나는 것은 새로운 현상이었다. 그리고 그 횟수도 늘어가는 것 같았다. 이런 상황에 대해 아이들과 앉아서 조용히 이야기할 수 있으면 좋았겠지만, 내 안의 짜증 때문에 오히려 화를 내는 반응으로 상황을 악화시키는 실수를 범하곤 했다.
But failures can serve a reminder of the work we need to do. In this season of increased stress and conflict, our family is also working more intentionally at building a restorative culture in our home.
그러나 실패는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스트레스와 갈등이 많은 이 시기에 우리 가족도 가정 내에 회복적 문화를 만들기 위해 더 의도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
I asked our oldest daughter, Lomie, who’s 11 (Korean age) what she believes makes our home a restorative place. She thought of four things: listening to each other, sharing in a circle together every evening, sharing in a dialogue when there is conflict, and making promises together. I want to add number five: living with parents-in-law and community.
최근에 11살이 된 첫째 딸 로미에게 우리가 회복적 가정을 만들기 위해 어떻게 할 수 있을지 물어보았다. 로미는 다음의 네 가지를 이야기했다. 1. 서로 잘 들어주기, 2. 매일 가족서클 하기, 3. 갈등해결을 위한 대화모임 하기, 4. 약속 만들기. 그리고 내가 추가하고 싶은 다섯 번째는 ‘시부모님 및 공동체와 함께 살기’이다.
1. Listening to each other 서로 잘 들어주기
I want to raise our children in a home where we parents actively listen to our children, with open ears and open hearts. Through this modeling, I hope that our children will also learn how to listen respectfully to each other, to us and to others.
우리 집에서 부모가 자녀에게 열린 귀와 열린 마음으로 적극적인 듣기를 잘 하게 되면 좋겠다. 이 모델을 통해 내가 바라는 것은, 우리 아이들이 서로에게, 우리에게, 다른 사람에게 존중으로 듣는 법을 배우게 되는 것이다.
2. Bedtime circle 매일 가족서클 하기
For the past few years, our family has gathered in the evening before bed for a family circle. We take turns asking questions like, “What were you grateful for today?” or “What is something you want to do tomorrow?” and we pass a talking piece around as we take turns sharing. This helps us to know each other and to understand each other.
우리 가족은 지난 3년 동안 잠자리에 들기 전에 다 같이 원으로 앉아서 이야기 나누는 가족서클을 해왔다. 교대로 질문을 만들고 토킹피스를 갖고 있는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준다. 우리 가족서클에서 주로 나오는 질문은 “오늘 뭐가 제일 좋았는지? 또 내일 무얼 하고 싶은지?” 등이다. 가족서클을 통해서 가족 구성원 간에 서로를 잘 알게 되고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데 도움이 된다.
3. Conflict resolution dialogues 갈등해결을 위한 대화모임 하기
We don’t have a circle for every conflict – but when one or more of the children feels especially hurt, we sit down and talk it through together. We wait to start the circle until everyone has calmed down, and if the conflict happens close to bedtime, we wait until the next morning to talk it through. We close these circles by holding each other close and singing, “I love my sisters!” or “I love our family!”
갈등이 생길 때마다 대화모임을 하지는 않지만 아이들 중에 누가 특히 피해를 받았다고 느끼면 다 같이 모여 토킹피스를 돌려가며 이야기를 나눈다. 싸우면 바로 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심리적으로 진정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시작하고, 잠잘 시간이 다 되어서 갈등이 발생하면 다음 날 아침까지 기다린다. 대화모임을 마무리하고 나서는 서로 안아주면서 “우리 가족을 사랑합니다!”라는 노래를 함께 부르면서 마친다.
4. Making promises 약속 만들기
Sometimes we sit together to make new promises about a certain area that has been full of conflict. We share our ideas and choose our promises based on consensus. Then we post them somewhere in our home until they become part of our common practice, or no longer needed.
우리 집에서는 <규칙>이 아니라 같이 만든 <약속>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새로운 약속을 만들 필요가 있을 때마다 다 같이 생각을 나누고 합의한 것을 바탕으로 약속을 정한다. 공동의 실천이 될 때까지, 또는 더 이상 필요 없을 때까지 새로운 약속을 글로 써서 집 안 어딘가에 붙여 놓는다.
5. Living with parents-in-law and community 시부모님 및 공동체와 함께 살기
Since Lomie was born, we have lived in the same building with some of our working community, and for the past nearly six years, we have shared a home with my parents-in-law. Our children have thrived as a result of the love they receive from their grandparents and from many “aunts” and “uncles”. Also, living closely with elderly parents and community, though it also holds challenges, provides wisdom and accountability in our efforts to live restoratively.
로미가 태어나기 전부터 우리 가족은 공동체 식구들과 같은 건물에서 살아왔으며 최근 6년 동안 시부모님과 함께 살았다. 우리 아이들은 할머니, 할아버지라고 부르는 시부모님과 많은 이모, 삼촌의 사랑을 많이 받고 자라서 잘 크는 것 같다. 그리고 세대 차가 나는 연세 있는 부모님과 공동체와 함께 살기 때문에 어려운 도전도 많지만 오히려 회복적으로 살기 위한 지혜와 책임에 대해 매일 배울 수 있다.
These five practices have been important for our family, but they are not necessarily a recipe for a restoration. The thing that is more important than these practices, is whether we really believe that restoration is possible. Among the code of ethics of the Anishinaabe, a group of Indigenous peoples in what are now Canada and the U.S, are these powerful statements:
“All persons make mistakes. All mistakes can be forgiven.”
이 다섯 가지 실천은 우리 가족에게 중요하지만 회복적 가정을 위한 레시피는 아닌 것 같다. 회복적 실천보다 더 중요한 것은 우리가 정말로 회복이 가능하다고 믿는 믿음과 확신이 있는가라고 할 수 있다. 캐나다와 미국의 원주민 그룹인 아니쉬나아비(Anishinaabe)의 윤리 강령에 있는 중요한 문구를 나누고 싶다.
<모든 사람은 실수를 한다. 모든 실수는 용서받을 수 있다.>
I choose to believe that our mistakes can be mended, restored, and forgiven. I want to be a person who aims to restore and forgive my own mistakes and the mistakes of the people around me. This desire pushes me to seek out the words and actions to co-create a restorative home, a place of life and peace.
나는 우리의 실수가 고쳐지고, 회복되고, 용서받을 수 있다고 믿는 것을 선택한다. 나는 내 실수와 주변 사람들의 실수를 회복하고 용서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 그래서 회복적 가정(생명과 평화가 있는 공간) 창조하기 위한 말과 행동을 계속 찾아갈 것이다.
*이재영 이사장의 아내 캐런 선생님의 글을 류혜선 연구원이 번역하였습니다.